하리오 스위치. 이름은 익숙하지만, 막상 그 잠재력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홈카페 유저들이 V60이나 칼리타처럼 ‘여과식 드립 도구’로만 여기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작은 도구 속엔 침지식 추출이라는 전혀 다른 세계가 숨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아브라함커피 레시피'는 하리오 스위치를 이용한 침지식 레시피입니다. 그 결과? 단맛은 부드럽고 바디감은 묵직한 그런 커피가 완성됩니다.
오늘은 여과식과 침지식의 차이부터 시작해 하리오 스위치의 구조적 장점 그리고 아브라함 레시피가 어떻게 ‘균일한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지까지. 커피 한 잔의 디테일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침지식과 여과식
흔히 알고 있는 하리오 V60이나 칼리타 드리퍼를 이용한 핸드드립은 여과식(Percolation)입니다.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를 때 커피 입자를 지나가면서 커피가 추출되죠. 과정은 단순해 보이지만 물줄기나 물을 붓는 속도 그리고 회전 반경 등의 변수 하나하나가 맛의 균형을 좌우합니다. 섬세한 조절이 필요한 만큼 추출 난이도는 높은 편. 하지만 잘만 하면 맑고 깔끔한 커피를 즐길 수 있습니다.
반면 침지식(Immersion)은 물과 커피가 일정 시간 함께 머무르며 추출되는 방식입니다. 프렌치프레스나 커핑 그리고 에어로프레스 등이 여기에 속하죠. 물이 커피 가루 전체와 고르게 접촉하기 때문에 추출 편차가 적습니다. 또한, 바디감 있는 깊은 맛이 특징입니다. 단점이라면 상대적으로 무겁고 오일성분 때문에 텁텁할 수 있습니다.
하리오 스위치는 이 두 세계를 아주 유연하게 넘나듭니다. 침지식의 안정성과 여과식의 깔끔함을 동시에 누릴 수 있죠. 비결은 스위치. 침지 상태로 추출을 유지하다가 타이밍 맞춰 스위치를 열면 자연스럽게 여과식으로 전환됩니다. 커피를 잘 모르는 초보자도 매번 일정한 맛을 낼 수 있는 이유입니다.
하리오 스위치가 특별한 이유
프렌치프레스는 침지식을 이용한 대표적인 추출 도구입니다. 다소 무겁고 탁한 뉘앙스가 특징이죠. 하지만 하리오 스위치는 드리퍼와 종이 필터를 이용하기 때문에 커피 미분(작은 입자)이 남지 않아 깔끔합니다. 바디감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입 안에 남는 텁텁함은 줄일 수 있다는 뜻이죠.
특히 침지식의 장점 중 하나는 맛의 균일함입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커피와 물이 동일한 비율로 접촉하기 때문에 핸드 드립처럼 매 추출마다 결과가 거의 달라지지 않습니다. 일관성이 높은 커피는 초보자에겐 실패 없는 경험을 숙련자에겐 디테일을 조정할 수 있는 여지를 줍니다.
아브라함커피 레시피
이 레시피가 흥미로운 이유는 침지식의 균일함을 과학적으로 설계했다는 점입니다. 핵심은 바로 ‘포화 상태(Saturation)’. 커피와 물의 비율을 의도적으로 낮춰 물이 커피 성분을 더 이상 흡수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그 결과 쓴맛이나 떫은맛 같은 과잉 추출 성분이 줄어들고 단맛 중심의 커피가 만들어지는 거죠.
준비물
- 원두량: 25g (고정)
- 분쇄도: 핸드 드립보다 가늘게 모카포트보단 굵게
- 물 온도: 100℃(고정)
추출 순서
1) 린싱 및 예열
하리오 스위치 재질이 유리(혹은 세라믹)기 때문에 예열이 중요합니다. 스위치를 On 한 상태로 린싱 한 뒤 필터가 밀착이 다 되면 스위치를 Off 하고 추가로 뜨거운 물을 부어 드리퍼를 예열합니다. 예열이 마무리되면 스위치를 Off 해 물을 내리고 서버의 물을 버립니다.
2) 원두 담기
드리퍼에 분쇄된 원두 25g(고정)을 담아 추출 준비를 합니다.
2) 1차 물 붓기로 마무리(One Pour)
이 레피시의 장점은 뜸 들이기 마저 생략하는 편리함. 스위치를 Off 한 상태로 정해진 양의 물을 One Pour 합니다. 뭉친 커피를 풀고 물이 커피와 물이 골고루 만나도록 살짝만 저어줍니다. 휘젓는 건 금물!
- 강배전: 100g
- 약배전: 125g
3) 2분 후 스위치 ON 해 추출 시작합니다.
2분이면 충분합니다. 2분이 넘어가더라도 크게 문제없습니다. 물이 포화상태로 더 이상 커피 성분을 뽑아내지 못하기 때문.
4) 가수
추출이 끝난 뒤에는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수(물을 추가)합니다. 배전도에 따라 추가되는 물의 양이 달라집니다. 단. 가수 되는 물의 양은 취향에 따라 조절 가능합니다.
- 강배전: 따뜻한 물 120g (아이스커피는 찬물 90g)
- 약배전: 따뜻한 물 100g (아이스커피는 찬물 70g)
장점
강배전을 위해 개발된 레시피였지만 약배전에서도 놀라운 결과를 보여줍니다.
- 강배전: 묵직한 바디감 + 진한 농도 + 고소함 극대화
- 약배전: 밝은 산미 + 투명한 단맛 + 깔끔한 마무리
로스팅 단계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레시피의 큰 장점이죠. 특히 단맛과 고소 함한 커피를 좋아한다면 이 방식은 꽤나 만족스러울 겁니다.
지금까지 하리오 스위치를 이용한 침지식 레시피(아브라함커피 레시피)를 소개해드렸습니다. 하리오 스위치가 있다면 지금 당장 꺼내 시도해 보세요. 뜨겁고 진한 첫 모금에 단맛과 바디감을 동시에 경험하실 수 있을 겁니다. 작은 레시피의 변화로 다양한 커피 생활을 즐겨보세요.
하리오 스위치 관련 글 더 보기
'Coffee > Hand Drip Reci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소 드리퍼: 추출 속도 조절 가능한 드리퍼 리뷰 및 레시피 (0) | 2025.04.01 |
---|---|
하리오 스위치와 드립 어시스트 레시피 Feat. 커피 익스플로러 (0) | 2025.03.22 |
스테인리스 메쉬 드리퍼를 이용한 아이스커피 레시피 (6) | 2024.10.11 |
카페 쓰어다 만들기: 베트남 핀을 이용한 커피 추출 레시피 두 번째 (0) | 2024.10.07 |
'베트남 핀'을 이용한 커피 추출 레시피: 핀(Phin) 드리퍼 소개 (7) | 2024.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