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이야르 반응2

article thumbnail 로스팅 프로세스: 플레이버를 디자인하는 프로세스 생두를 고르고 프로세싱과 열반응을 공부했다. 그리고 향기와 플레이버까지 짚었다. 이제 남은 건 단 하나. 커피를 진짜 '맛있게' 만드는 것. 마지막 관문 로스팅 프로세스다. 한 알의 생두가 마침내 커피가 되는 과정 그전 과정을 찬찬히 따라가 본다. 로스팅은 단순히 생두를 볶는 일이 아니다. 로스팅은 플레이버를 디자인하는 프로세스, 즉 향미를 조율하고 기억을 그려내는 설계다. 로스팅의 본질: 화학반응과 열전달로스팅은 뜨거운 불 속에서 커피가 '자기 색'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안에 남아있던 수분이 증발하고 당이 분해되고 수백 가지 향기 분자가 생성되는 복합 화학의 집약체다. 근데 이걸 단순히 '불을 세게 하면 진해지고 오래 하면 탄다'라고 한다면? 원인은 모른 채 결과만 이야기한 셈. 로스팅은 물리학 +.. 2025. 8. 17.
article thumbnail 로스팅의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반응: 커피 속 벌어지는 진짜 과학 이야기 커피는 불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생두를 아무리 잘 골라도 프로세싱이 아무리 기가 막혀도 마지막 불이 잘 못되면 그냥 탄 커피다. 불에 생두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 안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모르면… 로스팅은 그냥 운에 맡겨야 한다. 그래서 오늘은 커피 속 벌어지는 진짜 과학 이야기. 로스팅의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반응에 대해 털어보려고 한다. 생각보다 재미있고, 생각보다 중요하다.열의 본질과 전달 방식로스팅의 시작은 열이다. 단순히 뜨겁다는 개념이 아니다. 열이 어떻게 전달되느냐? 얼마나 빠르냐? 얼마나 오래가느냐? 에 따라 커피 맛이 아예 달라진다. 열전달 방식⊙ 전도(Conduction): 고체끼리 직접 촉촉해 열이 전달되는 방식이다. 드럼 벽면에 생두 직접 부딪치면서 열이 이동한다. 드럼이 .. 2025.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