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간편하면서도 꽤나 디테일한 하리오 스위치 드리퍼 레시피를 직접 따라 하면서 정리해 봤다. 여과와 침지를 넘나드는 하이브리드 추출. 커피 초보도 매일 아침 정신없는 사람도 쉽게 시도할 수 있을 만큼 직관적인 방식이다. 유튜브 채널 The Coffee Chronicler에서 영감을 얻어 나만의 루틴으로 흡수해 봤다. 아래는 그 기록.

어제는 무겐 + 스위치 드리퍼로 추출하는 레시피를 알아봤다. 오늘은 그냥 하리오 스위치다. 하리오 스위치는 여과와 침지를 한 번에 가져가는 하이브리드형 드리퍼다. 드리퍼 하단의 버튼 하나로 추출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 꽤 매력적이다.
하리오 스위치의 유명 레시피 중 하나는 테츠 카츠야가 만든 것이다. 이미 소개한 적도 있고 가끔 이 레시피로 추출도 한다. 하지만 이 레시피의 약점이 하나 있다. 물 온도를 중간에 바꿔야 한다는 것. 그래서 정신없는 아침에 사용하기에는 망설여진다. 그래서 정신없는 아침에 적합한 하리오 스위치 레시피를 들고 왔다. 아래는 내가 직접 추출한 방식이자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레시피.
Step 0: 기본 세팅
- 원두량: 20g
- 분쇄도: 중간-가는 정도 (코만단테 기준 22~24 클릭)
- 추출 비율: 1:16 (물 320g)
- 물 온도: 92~94℃
- 필터: 하리오 종이 필터
- 드리퍼: 하리오 스위치

※ 참고로 고급 그라인더를 사용한다면 1:17(20g:340g)까지 입문용 그라인더는 1:15(20g:300g)로 원두와 물의 비중을 조절.
- 린싱을 진행한다. 스위치를 닫아야 예열 시간이 짧아진다.

Step 1: 1차 푸어오버 (물 160g)
스위치를 열어둔 상태에서 추출을 시작했다. 중심부터 바깥쪽으로 원을 그리며 150g을 한 번에 붓는다. 물줄기는 강하게 커피층 전체를 자극하듯. 여기서 밝은 산미와 과일 향미가 탁 하고 올라온다.

'어? 복숭아인가?' 싶을 정도로 뚜렷한 향이 올라왔다.
Step 2: 2차 푸어오버 (물 160g)
1차 푸어 후 약 45초 경과하면 스위치를 닫고 2차 추출을 시작한다. 역시 중심부터 원을 그리며 150g을 붓는다.
휘저을 필요는 없고 빠른 물줄기의 회전만으로 자연스럽게 교반 되니깐. 이 단계에서 커피에 바디감이 생긴다. 좀 더 묵직한 느낌으로

Step 3: 침출 & 드로우다운
총 2분간 침출을 유지, 이후 스위치를 눌러서 추출 시작. 내려가는 데는 약 40초 정도 걸렸다. 원두에 따라 이 시간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30초에서 1분 사이면 ok.

추천 원두 & 스타일
- 에티오피아 예가체프 내추럴
- 케냐 AA 워시드
- 콜롬비아 핑크버번
밝은 산미와 복합적인 단맛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정말 잘 맞는다. 이 레시피는 여과를 통한 산미와 침지를 통한 바디감을 동시에 가져갈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해보면서 느낀 점
직접 따라 해 보니 추출 안정성이 놀랍도록 좋았다. 휘저을 필요 없고 물줄기도 다른 드리퍼보다는 신경이 덜 쓰인다. 하리오 스위치의 강점은 단순함과 유연성의 공존이다. 레시피도 간단한데 커스터마이징도 자유롭다. 물 온도, 분쇄도, 추출 타이밍 조금씩만 바꿔도 결과물에 확실한 차이가 난다. 그게 꽤나 재미있다.

테츠 카츠야의 레시피도 매우 훌륭하다. 추출 후반 70 ~ 80℃의 물을 사용해 부정적인 성분을 덜 나오게 하는 레시피기 때문이다. 하지만 단점이라면 번거롭다. 이 레시피를 소개하는 이유는 단 두 번만 푸어하면 되는 레시피이기 때문이다. 매일 아침 딱 좋은 레시피인듯하다. 하루만 써보면 바로 감이 올 거다. 얼마나 편한지
'Coffee > Hand Drip Recip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리오 무겐 스위치 드리퍼 레시피: 하리오 무겐 + 하리오 스위치 (0) | 2025.11.12 |
|---|---|
| 핸드드립 완전 정복: 변수 통제와 향미 조율 방법 총 망라 (0) | 2025.11.11 |
| 저울 없이 핸드드립하는 법: 감각으로 커피 내리기 (2) | 2025.10.31 |
| 고노 드리퍼 푸어오버 레시피 : 핫 커피와 아이스 커피 추출법 (1) | 2025.10.16 |
| 하리오 스위치 대용량: 2인분 레시피(feat. 용챔) (0) | 2025.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