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ffee/Common Sense

카페 아메리카노 원가는 얼마일까? 커피 한 잔 수익 구조 완벽 분석

by 호기심 대장 (CuriousCat) 2025. 10. 1.

커피 한 잔에 담긴 진짜 숫자들

서울 시내 카페에서 흔히 마시는 아메리카노 한 잔. 2,000원 하는 커피가 있는가 하면 어떤 커피는 10,000원을 훌쩍 넘기기도 한다. 누군가는 '커피 원가는 몇 백 원일 텐데 너무 비싼 것 아니냐'라고 말하고 다른 한 편에서는 '카페 운영은 생각보다 남는 게 없다'라고 말한다. 진실은 무엇일까? 궁금해서 살펴봤다. 커피 한 잔에 담긴 원재료비, 인건비, 임대료, 고정비를 하나하나 풀어보면 그 답이 보인다.

우드 테이블 위에 계산기와 아메리카노가 담긴 컵이 있다.
커피 원가


커피 원가의 모든 것

커피 원가 하면 원두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커피 원가에는  컵, 컵 홀더, 물, 빨대, 시럽 등도 포함된다. 이러한 비용을 원재료비라고 부른다. 

커피 메뉴판이 뒤에 있고 테이크 아웃 커피를 들고 있는 손이 보인다.
커피 원가

 

아메리카노 한 잔 원재료비 세부 내역

카페 운영자 입장에서 아메리카노 한 잔을 만들기 위해 실제 들어가는 원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원재료(원두) 뿐만 아니라 컵, 머들러 비용, 정수 필터, 시럽 첨가물 등도 원가에 포함된다. 원두는 스페셜티 원두를 사용했다고 가정하고 계산했다.

항목 상세 내용 비용
원두(18g 기준) 1kg당 35,000원 기준 → 한 잔 18g 사용 시 630원
종이컵 또는 플라스틱컵 (브랜드 인쇄 포함) 32원
컵 홀더 열차단용 컵 홀더 10원
리드(뚜껑) 투명/흰색 플라스틱 리드 16원
빨대 또는 머들러 개당 평균 단가 6원
정수 필터 비용 평균 6개월 사용 12원
시럽/첨가물 기본 시럽 (5명 당 1인이 사용 시) 0.46원
합계 706원

 

아메리카노 한 잔의 총 원재료비: 약 706원

 

평균 음료 한 잔의 원재료비

그런데, 카페에는 다양한 음료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카페라테. 카페라테 한 잔의 원재료비는 얼마나 될까?

카페라테 한 잔 총 원재료비:  약 1.310원 (아메리카노 한잔 원재료비 + 우유(한 잔) = 706원 + 604원 = 약 1,310원)

 

만약 이 카페는 아메리카노와 카페라테 단 두 가지 음료만 판매한다고 하자.

⊙ 아메리카노 한 잔 판매가: 3.000원

⊙ 라테 한 잔 판매가: 4,000원

⊙ 라테 판매 비중이 35%라면

 

  아메리카노
(65%)
라테
(35%)
평균
판매가 3,000원 4,000원 3.350원
원재료비 706원 1,310 917원
원재료비 ÷ 판매가 23.5% 32.7% 27.4%

 

 

■ 한 잔 평균 판매가 및 원자료비 가격 계산 식

⊙ 평균 한잔 원재료비 = 아메리카노 원재료비(706원) x65% + 카페라테 원자료비(1,310) x 35% = 917원

⊙ 평균 한잔 판매가 = 아메리카노 한 잔 가격(3000원) x65% + 카페라테 한 잔 가격(4,000) x 35% = 3350원

 

☞ 라테 등의 음료가 아메리카노보다 원재료비의 비중(원가율)이 이 더 높다. 아메리카노의 비중이 낮아질수록 원가율은 높아진다. 반면 매출액으로 보면 같은 잔 수를 팔더라도 라테 등의 음료 비중이 높아야 좋다. 

 

※ 단, 브랜드 수준이나 잔당 사용량 그리고 원두 등급에 따라 ±100원 이상 차이 날 수 있다.

 

 

인건비는 어떻게 계산될까?

카페를 운영하는 데는 원재료 비용(원가율) 외에도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그중 인건비는 가장 고민되는 비용 중 하나다. 한 번 채용하면 쉽게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인건비는 근무자 수, 영업시간, 시급 수준, 그리고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2025년 최저 시급시 보험 주휴 수당 포함 약 2,100,000원 정도 된다.

여자 바리스타가 픽업대 위에 테이크 아웃 커피를 올려놓고 있다.
인건비도 잘 따져보자

2025년 최저 급여

⊙ 시급: 10,030원

⊙ 주당 근무시간: 40시간 (8시간 × 5일)

⊙ 월 근무시간: 209시간 (주 40시간 × 52주 ÷ 12개월)

⊙ 월 급여 = 시급 × 월 근무시간 =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주휴수당 포함) ≒ 2,100,000

 

한 잔 당 급여 비용

실제 급여는 판관비여서 원가로 계산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한 잔 판매가 될 때 비용을 계산해 놓으면 한 잔당 이익을 쉽게 계산할 수 있다.

 

■ 가정

⊙ 월평균 매출: 15,000,000(가정)

⊙ 월 판매 잔수: 4,478잔(평균 매출 ÷ 평균 음료 판매가 =  15,000,000 ÷ 3,350원)

한 잔 당 인건비 = 2,100,000 ÷ 4,478 ≈ 469원

 

※ 매장 규모가 커질수록 인건비가 늘어날 수 있다. 직원이 늘어나면 쉽게 정리할 수 없기 때문에 고정비 성격이 높다. 하지만, 임대료에 비하면 변동성이 크다.

 

 

임대료와 기타 고정비는 어디까지 포함될까?

비용은 원가(원재료비)와 인건비 외에도 많다. 또한 그 비용들이 대부분 고정비다. 고정비는  매출과 무관하게 매달 발생하며 전체 수익 구조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항목 금액 설명
임대료 2,000,000원 부가세 포함 서울 서울 상가 10평 기준
전기세 250,000원 커피머신, 냉장고 등 포함
수도세 60,000원 주방 + 화장실 이용 포함
가스비 60,000원 겨울철 난방 등 계절 변동
관리비 100,000원 청소비, 소방, 공용전기 포함
기타 소모핌 200,000원 청소 용품 및 수리 부품 등
총 고정비 2,470,000원 부가세 포함

 

⊙ 월 판매량 4,478잔 기준 (평균 매출 15,000,000/평균 음료 판매가 3,350원)

잔당 고정비 = 2,470,000 ÷ 4,478 ≈552원

 

그럼 아메리카노 한 잔, 수익은 얼마일까?

지금까지 계산한 항목들을 한데 모아보자.

⊙ 이 카페는 아메리카노와 카페라테 2 음료만 판매

⊙ 카페라테 판매 비중을 35%로 가정

  아메리카노
항목별 비용
카페라테
항목별 비용
평균
항목별 비용
판매가 3,000원 4,000원 3,350
원재료비(원가) 706원 1,310원 917원
인건비 469원 469원 469원
고정비 552원 552원 552원
비용 총합계 1,727원 2,331원 1,938원
한 잔당 이익 1,273원 1, 669원 1,412원

 

 

※ 판매가는 프로모션 할인 등으로 줄어들 수 있음.

 

 

왜 수익이 많은 것 같지만 여전히 힘들다.

겉보기에 한 잔 당 1,412원 남는 장사처럼 보이지만 현실은 다르다. 수익을 갉아먹는 비용들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요인이 수익을 갉아먹는다:

장비 수리비: 에스프레소 머신 고장 시 수십만 원 단위 지출

원두 가격 변동성: 스페셜티 생두 가격이 시즌마다 20~30% 출렁임

재고 손실: 유통기한 도래, 커피 실수, 유리컵 파손 등

광고/마케팅비: 네이버 플레이스 노출, 인스타 홍보비 등

감가상각비:인테리어 및 기계(커피 머신, 그라인더, 냉장고, 제빙기, 블렌더 등)

⊙ 대출 상환: 대출금 원금+이자

 

 

☞ 실제 수중에 남는 돈은 더 적다. 게다가 매출이 다 나에게 오는 것도 아니다. 부가가치세가 있기 때문. 

⊙ 우리나라 부가가치세는 10%

⊙ 부가가치세는 분기별로 납부:

⊙ 부가세 금액 = 매출 부가세 - 매입 부가세로 계산

⊙ 부가가치세 = (부가세 포함 금액 ÷ 1.1 ) x 0.1

 

가상의 카페 수익

⊙ 월매출 15,000,000 → 부가세 제외 매출 13,636,364

 

※ 아래표는 매출과 매입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으로 계산함

항목 금액 비고
부가세 제외 매출 ₩13,636,364  
 소비자 매출 ₩15,000,000  
원재료(부가세 제외) ₩3,732,103 원가율 27,4% 적용
판관비 ₩7,860,606  
 인건비 ₩2,100,000 1명 최저 시급
 임대료(부가세 제외) ₩1,818,182  
 관리비(부가세 제외) ₩427,273 수도광열비 외
 기타물품(부가세 제외) ₩181,818  
 감가상각비용 ₩3,333,333 아래 참고
 이자 비용 ₩375,000 아래참고
이익(부가세 제외) ₩2,043,654  

 

감가상각비: 인테리어 및 기계 구입 부가세 포함 80,000,000을 24개월 정액 계산 (80,000,000 ÷ 24)

이자비용: 1억을 년 4.5%로 대출 시 월 이자비용 100,000,000 x 0.045 ÷ 12

 

☞ 월 수익은 2,043,654으로 직원 급여 2,100,000 적다.  여기에 광고나 수리비 같은 비용들이 더 들어갈 것이다. 실제 수익은 200만 원보다 훨씬 더 줄어들 것이다. 


카페 수익은 '원두 몇 그램의 비용'만으로 계산되지 않는다. 원재료비 외에도 인건비, 고정비, 감가상각, 변수까지 포함해야 진짜 '한 잔의 비용'아 보인다. 3000원의 커피에 담긴 원가는 생각보다 섬세하고 그 수익 구조는 복잡하다. 카페를 운영할 생각이 없다면 그냥 재미 삼아 보면 된다. 하지만 카페를 운영할 생각이 있다면 곰곰이 따져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