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ffee/Hand Drip Recipe

고노 드리퍼 푸어오버 레시피 : 핫 커피와 아이스 커피 추출법

by 호기심 대장 (CuriousCat) 2025. 10. 16.

핸드 드립 커피를 즐기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고노(KONO) 드리퍼. 고노 드리퍼 하면 점드립이 바로 떠오른다. 그러나 오늘은 점드립이 아닌 푸어오버로 추출하는 레시피다. 유튜브 채널 커디터를 참조해 MDK-21 고노 드리퍼로 추출해 봤다. 점드립이 아닌 푸어오버로도 깊은 농도감과 부드러운 마우스필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초록색 매트 위에 자기컵과 유리컵이 있다. 각각 핫 커피와 아이스 커피가 담겨있다.
고노로 추출한 핫 & 아이스 커피

 

 


고노 드리퍼 MD, MDN, MDK?

고노 드리퍼는 1973년 일본에서 개발된 드리퍼다. 하리오 V60 드리퍼처럼 원뿔모양으로 생겼다. 하지만 하리오에 비해 추출구가 작고 리브도 짧다. 이러한 구조 덕에 추출 속도가 느리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한 방울씩 떨어뜨리는 점드립으로 추출한다.

초록색 매트위에 하리오 v60과 고노 드리퍼가 놓여있다. 고노의 리브가 짧다
하리오 V60에 비해 리브가 짧은 고노 드리퍼

 

드리퍼 2개가 꺼꾸로 눞여있다. 왼쪽의 드리퍼 추출구가 오른쪽 보다 크다.
하리오 V60에 비해 추출구가 작은 고노 드리퍼

 

 

하지만 점드립은 난이도가 높다. 또한, 점드립이 가능한 드립포트를 사용해야 한다. 그래서 하리오나 칼리타 드리퍼보다 사용하는 사람이 적은 것도 사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자 고노 드리퍼도 새로운 버전이 등장했다. 그것이 바로 MDN과 MDK. 그리고 1973년 최초로 등장한 고노 드리퍼는 MD

 

이 셋을 간단히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MD MDN MDK
전체 이름 Meimon Dripper Meimon Dripper New Meimon Dripper Kaldi
추출구 크기
유속 빠름 중간 느림
추출 난이도 높음 중간 낮음

 

 

MDK와 MD를 비교하면 MDK가 MD보다 추출구가 작고 리브가 짧아 침지 추출에 적합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푸어오버 방식으로도 마우스필이 좋고 향미가 풍부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핫 커피 레시피

핫 레시피는 총 250g의 물을 네 번에 나눠 붓는 단순하지만 과학적인 구조다.

 

준비물

⊙ 중배전 원두 15g 사용 (1~2인 기준)

⊙ 85℃ 250g (너무 뜨거우면 과다 추출 우려)

⊙ 고노 전용 필터 추천

저울위 컵에 원두가 담겨있다. 저울은 15.1g을 표시하고 있다.
15g 중배전 원두 사용

 

브뤼스타 드립포트의 온도가 85℃를 가르키고 있다.
85℃ 물 사용

추출 순서

0) 반드시 린싱한다. 린싱은 드리퍼와 필터를 밀착시켜 바이패스를 줄여준다.

고노 드리퍼 린싱 중. 드리퍼 안쪽에 린싱을 도와주는 도구가 들어가 있다.
린싱 중

 

1) 뜸 들이기: 30초 동안 50g 서클 푸어로 진행. 커피빵이 예쁘게 부풀어야 향미가 안정적으로 추출된다

드리퍼 안에 분쇄된 원두가 있고 드립포트로 뜸 들이기를 시작함
뜸 들이기

 

2) 1차 푸어: 30초(누적 1분) 동안 60g (누적 110g) 역시 서클 푸어로 진행

드립포트로 원을 그리며 푸어 중인 사진
서킆 푸어 중

 

3) 2차 푸어: 30초(누적 1분 30초) 동안 60g (누적 170g) 서클 푸어

4) 3차 푸어: 30초(누적 2분) 동안 80g(누적 250g) 센터 푸어로 진행

가운데로 물을 붓는 사진. 마지막 푸어는 센터 푸어다.
센터 푸어 중

 

5) 서버의 커피를 잘 저은 후 컵에 부어 마무리

왼쪽 컵은 비어있고 오른쪽 서버는 추출된 커피가 담겨있다.
빈 컵과 추출된 커피
왼쪽 컵에 커피를 붓는 중이다.
추출된 커피를 컵에 붓는 중

 

⊙ 약 2분 20초 전후로 마무리되면 된다.

⊙ 농도감 있고 부드러운 커피를 즐길 수 있다.

시작 시간 Pour
(누적)
비고
00:00 50g 뜸 들이기
센터 푸어
00:30 60g
(110g)
서클 푸어
01:00 60g
(170g)
서클 푸어
01:30 80g
(250g)
센터 푸어
02:20전후 - 완료

 

아이스커피 레시피

아이스커피는 170g 물을 총 세 번에 나눠 붓는다.

준비물

⊙ 중배전 원두 15g 사용 (1~2인 기준). 핫 커피보다 가늘게 분쇄한다.

⊙ 85℃ 170g (너무 뜨거우면 과다 추출 우려)

⊙ 고노 전용 필터 추천

 

핫 커피와 다른 점

  핫 커피 아이스커피
붓는 물의 양 250g 170g
물 붓는 횟수 4회 3회
각 차수간 간격 30초 35초
분쇄도 핫 커피 < 아이스 커피

 

추출 순서

0) 핫 커피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린싱한다.

1) 뜸 들이기: 서버에 얼음을 30 ~40g 넣은 후 진행. 35초 동안 50g 서클 푸어로 진행

서버에 얼음이 담겨 있다. 저울은 43.2g을 가르킨다.
서버에 얼음을 담은 모습

 

2) 1차 푸어: 35초(누적 1분 10초) 동안 60g (누적 110g) 서클 푸어

3) 2차 푸어: 35초(누적 1분 45초) 동안 60g (누적 170g) 서클 푸어

4) 완료되면 얼음이 담긴 컵에 부어 마무리

매트위에 얼음이 담긴 유리컵이 있다. 이 유리컵에 추출된 커피를 붓고 있다.
추출 완료된 커피를 얼음이 담긴 유리컵에 붓고 있다.

 

⊙ 컵 안에 얼음을 미리 준비하면 즉시 시원하게 마실 수 있다

⊙ 산미는 절제되어 있고 고소하고 단맛이 인상적이다

 

시작 시간 Pour
(누적)
비고
00:00 50g 뜸 들이기
서클 푸어
00:35 60g
(110g)
서클 푸어
01:10 60g
(170g)
서클 푸어
02:00 전후 - 마무리

 


오늘 소개한 고노 드리퍼 푸어오버 레시피는 '고노 = 점드립'이라는 관념을 깰 수 레시피다. 핸드 드립 입문자도 쉽게 추출할 수 있다. 침지 추출을 활용해 바디감과 단맛이 좋은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레시피인 듯. 이 레시피를 알기 전보다 고노 드리퍼를 자주 사용할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고노 드리퍼 관련 글 더 보기

 

하리오 V60 vs 고노 드리퍼

점드립으로 아이스커피 추출

 

댓글